닫기

인도, 207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선진국,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증액 약속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china.asiatoday.co.kr/kn/view.php?key=20211102010000903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1. 11. 02. 08:09

모디 인도 총리, 207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목표 시점 첫 제시
미·영·독·EU,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재정 지원 증액 약속
현 대응 수준 유지시, 지구 평균 온도 2.7도 상승
Climate COP26 summit
1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 참석한 세계 정상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글래스고 AP=연합뉴스
인도 정부가 207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넷 제로(Net Zero)·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과 미국·유럽연합(EU) 등의 목표 시점 2050년, 중국·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 등의 2060년보다 최소 10년 늦지만 인도가 탄소 중립 목표 시점을 제시한 것은 처음이다.

인도는 온실가스 배출 세계 3위 국가이다. 1·2위는 중국·미국이고, 인도에 이어 러시아·일본·이란·독일·인도네시아·한국·사우디아라비아가 톱10 국가에 속한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1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연설에서 인도가 207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디 총리는 인도의 인구는 전 세계 19%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5%에 불과하다며 선진국보다 20년 뒤진 목표 시점 제시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Climate COP26 Summit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1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기간에 가진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글래스고 AP=연합뉴스
인도의 사정은 탄소 중립보다 경제성장이 당면 과제라는 측면에서 다른 개발도상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개도국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지구의 평균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자는 2016년 11월 발효 파리협약 목표를 실현하기 어렵다.

온실가스 배출의 약 60%를 개도국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독일·영국 등은 이날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기 위해 재정 지원을 증액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개도국에 대한 재정 지원을 2024년까지 4배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예산 5550억달러(655조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025년까지 독일의 지원을 연 60억유로(8조2000억원)로 증액할 것이라고 했고,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2025년까지 영국의 지원을 종전 116억파운드(18조6700억원)에서 10억파운드(1조6000억원) 늘릴 것이라고 약속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027년까지 EU의 지원금을 50억달러(5조9000억원) 증액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은 지난달 31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2025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118조원)의 기금을 조성해 개도국을 지원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2019년 지원액은 800억달러(94조3000억원)에 마치지 못한다.

이 같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탄소 중립 목표 시점 제시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약이 제시한 목표 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금의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2030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과 대비해 25% 줄이고, G20 정상회의가 제시한 목표인 1.5도 미만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45% 줄여야 하지만 지금 상황이 유지되면 16% 늘어난다.

유엔환경계획 보고서는 최근 현 대응 수준으로는 최소 2.7도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